아프리카미래학회

아프리카 소식
'죽음의 배달' 드론 전쟁의 그늘…"아프리카 곳곳서 민간인 폭격"
관리자 2025.03.11 9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죽음의 배달' 드론 전쟁의 그늘…"아프리카 곳곳서 민간인 폭격"

송고2025-03-11 15:04

송고 2025년03월11일 15시04분

英비영리기구 "3년간 아프리카 민간인 940여명, 드론 폭격에 희생"

민간인 피해 무시한 채 인구밀집 지역 공격…"통제 체계 마련해야"

연기가 치솟는 수단 남부 렌트 지역의 시장
연기가 치솟는 수단 남부 렌트 지역의 시장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군사무기로서의 효용이 입증된 무장 드론(무인기)이 아프리카 각국의 내전 등에 투입돼 막대한 민간인 인명피해를 낳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영국 비영리기구 '드론 워즈 UK'는 10일(현지시간) 아프리카 일대의 무장 드론 사용 현황을 분석한 보고서 '죽음의 배달'(Death on Delivery)을 발간했다.

보고서는 2021년 11월부터 2024년 11월까지 3년간 에티오피아, 부르키나파소, 말리, 수단, 소말리아, 나이지리아 등에서 50차례에 걸쳐 최소 943명의 민간인이 무장 드론을 사용한 공격에 목숨을 잃었다고 집계했다.

이 나라들은 튀르키예나 중국, 이란 등지에서 군사용 중고도 장거리 무인기(MALE UAV)를 도입한 국가들이다.

미국의 MQ-9 리퍼나 튀르키예제 TB-2 바이락타르, 중국 궁지(GJ)-2와 같은 중고도 장거리 무인기들은 장시간 공중에 체류하며 정찰과 감시 등 임무를 수행할 수 있고, 필요시엔 정밀 폭격에도 쓰일 수 있다.

특히 일반적인 군용기보다 값싸게 운용할 수 있고, 격추되더라도 인명피해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 까닭에 독립을 주장하는 소수민족이나 극단주의 무장세력, 정권탈취를 노리는 군벌 등과 내전을 벌이는 아프리카 국가들은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공군 전력인 무장 드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활용 중이라고 보고서는 전했다.

문제는 민간인 피해를 신경 쓰지 않는 무차별적 공습이 빈발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군부내 권력투쟁이 내전으로 이어진 수단에서는 작년 9월 수도 하르툼 시내 시장에 드론이 폭탄을 투하해 최소 47명이 숨지는 등 인구 밀집 지역이 공격 목표가 되는 사례가 잇따랐다.

압델 파타 부르한 장군이 이끄는 정부군은 이란과 중국, 튀르키예에서 다수의 무장 드론을 수입해 사용 중이다. 이에 맞서는 반군인 신속지원군(RSF)도 아랍에미리트(UAE)에서 공격 능력이 있는 드론을 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0년부터 티그라이 반군과 내전을 벌인 에티오피아에서도 2021∼2024년 사이 정부군이 감행한 드론 폭격 중 26건에서 490명이 넘는 민간인이 희생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밖에 말리, 부르키나파소 등에서도 반군을 겨냥한 정부군의 드론 폭격에 민간인이 휘말리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는데도, 국영 방송 등은 이를 첨단무기를 활용한 쾌거로 묘사하고 있다고 드론 워즈 UK는 지적했다.

이 단체는 "이런 피해를 막는 데 초점을 둔 새로운 통제체계를 구축하지 않는다면, 무고한 민간인이 목숨을 잃는 비극적 사례가 더욱 늘어날 우려가 크다"면서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한 국제사회의 정치적 의지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hwangch@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03/11 15:04 송고 2025년03월11일 15시04분 송고

본 기사는 연합뉴스와의 계약없이 전문 또는 일부의 전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Yonhapnews.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