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조 제출된 논문은 반드시 다음의 필수사항을 모두 포함하여야 하며, 순서에 맞게 작성되어야 한다:
1. 논문의 타이틀
2. 논문저자(및 공동저자)의 이름과 소속
3. 한글초록과 한글 주제어 6개
4. 논문의 전체 내용
5. 참고문헌 목록
6. 논문의 영문 타이틀과 저자의 영문이름과 소속, 영문초록과 영문 Key-words 6개.
제2조(학위논문 및 유사논문)
1. 학위논문에 근거한 논문은 그 사실을 논문 1쪽에 각주로 밝혀야 한다.
2. 투고의뢰 한 논문이 이미 다른 형태로 타 출판물에 게재가 된 경우, 투고자는 이 게재 논문의 서지 사항과 함께, 투고의뢰 한 논문이 선행 논문과는 실질적으로 상이한 논문임을 설명하는 별도의 진술문을 투고의뢰 한 논문과 함께 편집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제3조(논문명)
1. 논문명은 반드시 제일 처음에 기술한다.
2. 논문명에 요약이나 약자를 기재하지 않는다.
3. 논문명은 목차정보의 논문명과 반드시 일치하게 기술한다.
제4조(저자명과 저자소속)
1. 저자명 (소속, 전공)의 형태로 게재한다.
2. 저자가 여러 명일 경우는 쉼표〔,〕로 구분한다.
예) 박삼열(백석대학교, 선교신학), 나모세(한국성서대학교, 기독교학부)
제5조(저자의 익명성) 심사 시 저자의 익명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본문과 각주 어디에서도 저자의 신원을 짐작할 수 있는 여하한 언급도 피한다. 예) ...졸고 XXX... 혹은 ...졸저 YYY...
제6조(분량) 투고논문 분량은 표지를 제외하고 A4용지 15쪽 이하로 하되, 15쪽을 초과 한 자는 초과 페이지수에 따라 페이지당 초과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제7조(문서작성요령) 원고는 컴퓨터 문서작업을 하되(*.hwp 파일), A4 크기로 하며, 여백은 상단 30mm, 하단 및 좌우 여백은 각각 25mm로 한다. 폰트는 한글은 “함초롱바탕체”, 히브리어와 헬라어는 Bible Works의 폰트를 사용하여 작성하고, 글자 크기는 본문은 10, 블록인용문과 각주는 9포인트로 하며, 줄 간격은 본문 160%, 블록인용과 각주는 130%로 한다. 만일, 상용하지 않는 언어 혹은 폰트가 포함된 논문투고시 그 폰트를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또한 각 문단은 적절하게 나누어져야 하며, 문단과 문단 사이에 따로 빈 줄의 간격을 두지 아니한다. 각 문단의 첫 글자, 각주의 첫 글자의 경우 6칸 정도(10mm) 들여쓰기를 하여야 하며, 들여쓰기 한 위치가 모두 일정해야 한다.
제8조(기호의 사용)
1. 괄호 ( ): 외국어의 부연 표기, 내용의 부연 설명
2. 쌍따옴표 “ ”: 대화, 직접 인용
3. 외따옴표 ‘ ’: 부분적인 강조, 직접 인용 속의 인용, 간접 인용
4. 낫표 「 」: 논문집
5. 겹낫표 『 』: 일반 단행본류 저서
6. 삼각꺽쇠 〈 〉: 작품명
7. 겹삼각꺽쇠 《 》: 작품집, 정기간행물(신문, 잡지명)
제9조(표제 부분의 처리)
1. 제목
1) 국한문 제목에서 부제는 행을 바꾸고, 앞에 대시 기호(-)를 넣는다.
예) 일본선교를 위한 종교문화 이해
- 신도의 이해를 통한 일본인의 종교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2) 구문 제목에서 부제는 콜론(:)으로 넣어 표시한다.
예) Mission in the Old Testament: Israel as a Light to the Nations
제10조(소제목 구분) 논문내용의 각 장, 절, 항목의 구분과 번호 체계는 I, II → 1, 2 → 1), 2) → (1), (2) → ①, ②의 순서로 한다. 또한 “서론”(또는 “들어가는 말”)부터 번호를 붙인다.
제11조(문의 <표>, <그림>의 처리)
1. 표: <표 1>, <표 2>, <표 3>, 제목, 주
2. 그림: <그림1>, <그림2>, <그림3> 제목, 주
제12조(인명, 지명 표기) 인명(人名)과 지명(地名)은 다음 각 항과 같이 표기한다.
1. 영자 표기가 필요 없는 동양인의 경우 직책 없이 ○○○로 표기한다.
예) 홍길동...
2. 영자 표기가 필요한 서양인과 외국지명의 경우 논문에서 최초로 언급될 때 우리말 음역을 표기 한 후 괄호 안에 영자 표기를 한다.
예) [바빙크(J. H. Barvinck)는...] 또는 [요한 바빙크(Johan. H. Barvinck)는...], [제네바(Geneva)에서...]
3. 영자 표기가 필요한 서양인과 외국지명의 경우 논문에서 이미 언급 되었을 때 우리말 음역만을 표기한다.
예) [바빙크는...] 또는 [요한 바빙크는...], [제네바에서...]
제13조(성구표기) 성경의 장과 절 표기는 다음과 같이 한다.
1. 본문 중에서 성경을 인용할 경우, 성경 장과 절 표시를 각주로 넣지 아니하고 성경본문의 인용표시(“ ”)다음에 괄호로 표시한다.
예)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라”(마 1:1).
2. 본문 가운데서는 전체 성경책명을 쓰고 몇 장 몇 절을 쓴다.
예) 마태복음 1:1-16, 또는 마태복음 1장 1-16절.
3. 그러나 본문의 괄호 안과 각주에서는 성경책명을 약자로 쓴다. 이때 성경책명 약자표는 개역개정 한글판 약자표를 따른다.
예) 마 1:1-16.
4. 한 단락에서 같은 책을 반복하여 장과 절을 인용할 경우, 혼동되지 않는 한 두 번째부터는 생략이 가능하다.
5. 성경본문 인용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한글은 “개역개정판”, 영어는 “New International Version”(NIV) 본문을 사용하도록 하며, 그 외 특정의 본문을 사용할 때는 괄호를 하고 역본을 표시한다.
예) (한글개역, 표준번역, NASV) 등. 성경구절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6. 본문 안에서 여러 관련 구절을 지시 할 경우 괄호 안에 약어로 표기하고 각 성구 사이에는 쌍반점(;)으로 구분한다.
예) [겨자씨<마 13:31,32; 막 4:30-32>는...]
7. 본문 안에서 관련 구절의 참조를 지시 할 경우 관련 성구 다음에 ‘참조’라고 표기한다.
예) [대위임령은 이방인 전도를 정당화 하셨다<마 28:19, 20 참조>]
8. 성구사용의 복합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예) [사 18:5, 6, 8-10; 마 28:16-20; 눅 3:5, 17]
제14조(전문용어) 학술용어는 가능한 한 우리말로 하되 전문술어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1. 전문술어는 우리말로 옮긴 다음 괄호 안에 표기한다.
예) [상황화는(Contextualization)...]
2. 전문술어가 아닌 경우 불필요하게 괄호 안에 영자로 표기하지 않는다.
예) [복음(Gospel)은...]
3. 한자어의 경우 구분이 필요할 때 괄호 안 한자로 표기한다.
예) [구원(救援)은...]
제15조(직접인용) 직접인용은 다음과 같이 한다.
1. 인용문이 3줄 이하이면 본문 가운데서 앞 문장에 이어서 계속하여 쓰되 인용문 앞과 뒤에 겹따옴표(“ ”)를 쓰고 인용부호 안에서 인용부호를 쓸 경우에는 홀따옴표(‘ ’)로 바꾸어 쓴다.
2. 인용문이 4줄 이상이면 블록인용으로 하고, 글자크기는 9포인트로 한다. 이때 겹따옴표는 쓰지 않는다. 블록인용문의 줄간격은 130%로 하며, 들여쓰기는 하지 않는다. 블록인용문은 본문에서 위, 아래로 한 줄씩 띄움과 동시에 좌측 여백을 10mm 더 주어 본문과 분명하게 구분한다.
3. 인용하고자 하는 원문의 내용을 논문의 필자가 의도적으로 변경하고자 할 때는, 변경된 부분을 중괄호 [ ]로 표시한다.
제16조(괄호사용) 괄호는 일반적으로 소괄호를 사용한다. 그러나 소괄호 안에 또 다른 괄호를 사용할 때는 중괄호를 쓴다. 예) ( [ ] ).
제17조 모든 외국어는 한글음역 표기를 원칙으로 한다. 즉, 히브리어와 헬라어 등 외국어를 쓸 때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한글음역을 표기하고, 이어서 괄호 속에 그 원어를 병기한다. 그러나 두 번째부터는 음역만을 표기한다.
제18조(논문각주양식)
1. 단행본의 경우
1) 한국어: 저자,『책이름』(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해당 페이지. 이때 마지막 페이지 표기 시 p. 혹은 pp. ‘쪽’, ‘면’ 등은 쓰지 않는다. 또한 하나의 각주에서 여러 저작물을 나열할 때는 각 저작물 사이를 세미콜론(;)으로 구분한다.
예) 정흥호, 『상황화신학』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4), 65-67.
2) 외국어: 저자, 책이름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해당 페이지. 이때 전치사, 관사, 접속사를 제외한 모든 영문 단어의 첫 자는 대문자로 표기한다.
예) Kevin J. Vanhoozer, Remythologizing Theology: Divine Action, Passion and Authorship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97.
3) 개정판 수를 표기할 경우
예) Cornelius Van Til, The Defense of the Faith, 3rd. ed. (Phillipsburg: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1967), 52-54.
2. 단행본 번역서의 경우
1) 한국어: 저자, 원서명, 역자,『번역 책이름』(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해당 페이지.
예) David F. Wells, The Person of Christ, 이승구 역,『기독론』(서울: 토라, 2008), 48-50.
2) 외국어: 책에 음역된 저자, 책이름, trans. 역자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해당 페이지.
예) John Calvin, The Deity of Christ and Other Sermons, trans. Leroy Nixon (Grand Rapids: Eerdmans, 1950), 23.
3. 학술지 논문의 인용
1) 한국어: 한국어: 저자, “논문제목”,「학술지」권수 (출판연도): 해당 페이지.
예) 조병하,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는 명제에 대한 역사신학적 고찰”, 「한국개혁신학」 35(2012): 144-46.
2) 외국어: 저자, “논문제목”, 학술지이름(이탤릭체) 권수 (출판연도): 해당 페이지.
예) J. Muilenburg, “The Biblical View of Time”, Harvard Theological Review 54(1961): 226.
3) 주의 할 것은 한글 단행본 책이름은『책이름』과 같이 (쌍꺽쇠,『 』)를 사용하고, 학술지 이름은「학술지」와 같이 (홑꺽쇠,「 」)를 사용하여 구분한다. 그러나 영문은 동일하게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또한 한글논문과 외국어 논문에 있어 “논문타이틀” 다음의 ‘ , ’의 위치가 다름에 특히 유의한다.
4) 학술지의 권, 호수 표기시, ‘제 권’의 등의 표시는 하지 않고 숫자로만 표기하며, 또한 한권이 여러 호수로 나뉠때는 ‘ / ’ 사용하여 표기한다.
예) 「성경과 신학」 35/1(2012): 144-46.
Harvard Theological Review 54/2(1961): 226.
4. 편찬저서에 포함된 논문의 경우
1) 한국어: 저자, “논문제목”, 『책이름』, 편집자 편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해당 페이지.
예) 권호덕, “율법의 세 가지 용법”, 『칼빈신학 2009』, 안명준 편 (서울: 성광문화사, 2009), 114.
2) 외국어: 저자, “논문”, in 책이름, ed. 편집자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해당 페이지.
예) Robert D. Knudsen, “Calvinism as a Cultural Force,” in John Calvin: His Influence in the Western World, ed. W. Stanford Reid (Grand Rapids: Zondervan, 1982), 13-29.
3) 편집자가 복수일 때: 저자, “논문”, in 책이름, eds. 편집자들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해당페이지.
예) Haddon Robinson, “Required Reading: Why Establish a Reading Plan?,” in The Art and Craft of Biblical Preaching, eds. Haddon Ro binson and Craig B. Larson (Grand Rapids: Zondervan, 2005), 89.
5. 학위 논문의 경우
1) 한국어: 저자, “학위논문명” (학위, 학교, 연도), 해당 페이지.
예) 소윤정. “이슬람교 꾸란의 “계시”적 관점에서 본 가브리엘 천사개념에 대한 복음주의적 변증”. 철학박사학위논문,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2008. 25.
2) 외국어: 저자, “학위논문명”(학위, 학교, 연도), 해당 페이지.
예) Eunsoo Kim, “Time, Eternity, and the Trinity: A Tr initarian Analogical Understanding of Time and Eter nity” (Ph.D. Dissertation,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 2006), 15.
6. 고전문헌을 인용하는 경우
1) 인용한 페이지를 쓰지 않고 권과 장과 절을 쓴다. 이때 권, 장, 절은 아라비아 숫자로 기록한다.
예) John Calv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trans. Ford L. Battles (Philadelphia: Wes tminster Press, 1960), 1. 2. 1. (이후 Institutes로 인용함).
2) 같은 고전을 반복해서 인용할 경우, 위와 같이 첫 인용에서 사용할 ‘약어’를 먼저 명시하고 이후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
예) Calvin, Institutes, 1. 2. 1.
7. 약식서지 정보의 사용
자료를 처음 인용할 때는 그 자료의 모든 서지 정보를 정확하게 기록하여야 하지만, 두번째부터는 약식정보로 인용한다. 약식정보는 저자, 책이름(또는 논문명), 페이지만을 기록한다. 이때 저자가 외국인일 경우 이름은 Last Name만 기록한다. 또한 저서명 혹은 논문타이틀의 주제목만 표기하고, 부제목은 표기하지 않는다.
1) 한국어: 저자, 『책이름』, 페이지.
예) 정흥호, 『상황화신학』, 65-67.
예) 소윤정, “로잔운동 관점에서 본 이슬람교의 ‘할랄’과 한국 교회”, 90-92.
2) 외국어: 저자의 Last Name, 책이름 (혹은 논문명), 페이지.
예) Vanhoozer, Remythologizing Theology, 105.
예) Swanson, “Dialogue with a Catalogue,” 30-31.
3) 연이어 같은 자료를 참고했을 때도 ‘Ibid’, ‘전게서’, ‘위의 책’, ‘앞의 책’ 등을 사용하지 않고 약식인용을 반복해서 기록한다.
예) 정흥호, 『상황화신학』, 65-67.
4) 약어로 표기할 경우, 참고하는 글이 한글 번역본이면 약어는 반드시 한글 번역본의 타이틀로 한다. 그러나 참고하는 글이 외국어 원서이면 약어는 원어 타이틀로 한다.
예) 칼빈, 『강요』, 160.
Calvin, Institutes, 160.
제19조(참고문헌양식)
1. 참고문헌 목록 작성에 대한 일반적인 규정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서지정보를 표기함에 있어 각주의 방식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1) 먼저 한글 문헌 자료를 기록하고, 다음에 외국어 문헌 자료를 기록하되, 반드시 각주에서 사용된 자료만을 제시하도록 한다.
2) 한글 문헌들을 먼저 제시하되 한글은 저자명의 ‘가나다 순서’에 따라 정열하고, 외국서적은 저자명 Last Name의 ‘알파벳 순서’에 따라 정열 한다. 이때 단행본과 학술지논문 등, 자료들을 종류별로 구분하지 아니하고 통합하여 제시한다.
3) 저자 및 책명 다음에는 마침표(.)를 표기하고, 출판지, 출판사, 출판 년도를 표기함에 있어 괄호를 삭제한다.
4) 동일한 저자에 의해 쓰인 저서/논문은 아래에 일괄적으로 6칸 길이의 밑줄을 ( ) 사용하여 나타내되, 최근의 출판물부터 먼저 순서대로 제시한다.
5) 저서/논문명이 길어 두 줄 이상을 넘어 갈 때는 저자명이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두 번째 줄부터 8칸 들여 쓰도록 한다.
2. 단행본 자료
1) 한국어: 저자.『책이름』.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예) 정흥호.『복음과 상황화』.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4.
2) 외국어: 저자. 책이름 (이탤릭체).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이 때 외국인 저자의 경우 Last Name과 First Name의 순서를 바꾸어 표기해야 한다.
예) Vanhoozer, Kevin J. Remythologizing Theology: Divine Action, Passion and Authorship.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3. 단행본 번역서 자료
1) 한국어: 저자. 원서명 (이탤릭체). 역자.『번역 책이름』.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예) Wells, David F. The Person of Christ. 이승구 역.『기독론』. 서울: 토라, 2008.
2) 외국어: 책에 음역된 저자. 번역책이름. Trans. 역자.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예) Calvin, John. The Deity of Christ and Other Sermons. Trans. Leroy Nixon. Grand Rapids: Eerdmans, 1950.
4. 학술지 논문자료
1) 한국어: 저자. “논문제목”. 「학술지」 권수(출판연도): 시작 페이지-끝 페이지. 이때 주의할 것은 반드시 해당 논문의 전체 시작과 끝 페이지를 표기해야 한다는 점이다.
예) 조병하.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는 명제에 대한 역사신학적 고찰”. 「한국개혁신학」 35(2012): 144-146.
2) 외국어: 저자. “논문제목.” 학술지이름 권수(출판연도): 시작 페이지-끝 페이지.
예) Muilenburg, James. “The Biblical View of Time.” Harvard Theological Review 54(1961): 225-252.
5. 편찬저서에 포함된 논문자료
1) 한국어: 저자. “논문제목.” 『책이름』. 편집자 편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시작 페이지-끝 페이지.
예) 권호덕. “율법의 세 가지 용법.”『칼빈신학 2009』. 안명준 편. 서울: 성광문화사, 2009: 104-148.
2) 외국어: 저자. “논문제목.” In 책이름. Ed. 편집자.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시작 페이지-끝 페이지.
예) Knudsen, Robert D. “Calvinism as a Cultural Force.” In John Calvin: His Influence in the Western World. Ed. W. Stanford Reid. Grand Rapids: Zondervan, 1982: 13-29.
6. 학위 논문의 경우
1) 한국어: 저자. “학위논문명”. 학위, 학교, 연도.
예) 소윤정. “이슬람교 꾸란의 “계시”적 관점에서 본 가브리엘 천사개념에 대한 복음주의적 변증”. 철학박사학위논문,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2008.
2) 외국어: 저자. “학위논문명.” 학위, 학교, 연도.
예) Kim, Eunsoo. “Time, Eternity, and the Trinity: A Tri nitarian Analogical Understanding of Time and Eter nity.” Ph.D. Dissertation,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 2006.
제20조(편집자의 표기)
1. 각주에서 편집자 표기: 책(논문)명 뒤에 콤마(,)를 찍고 소문자로 ed. 편집자 이름을 기록한다. 편집자가 복수일 경우에는 책(논문)명 뒤에 콤마(,)를 찍고 eds. 편집자 이름을 기록한다.
2. 참고문헌(책일 경우): 책이름 뒤에 점(.)을 찍고 Ed. 편집자 이름을 기록한다.
예) Calvin, Joh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Ed. John McNeill.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60.
3. 참고문헌(논문일 경우): 논문을 기록하고 In 다음에 책 이름을 기록한 후 콤마(.)를 쓰고 소문자로 Ed. 편집자 이름을 기록한다.
예) Naphy, William. “Calvin’s Geneva.” In The Cambridge Companion to John Calvin. Ed. Donald K. McKim.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5-46.
제21조(영문초록[Abstract])
1. 구분단어: 초록, 요약, Abstract, 요약(要約)중 Abstract로 한다.
2. 초록(요약)내용을 논문 본문에 기술할 때 반드시 구분단어[초록, 요약, Abstract 등]을 새로운 줄에 기술하고 다음 줄부터 초록내용을 기술한다.
3. 초록의 내용이 끝나면 반드시 다음은 공백라인 처리[Enter]한다.
4. 분량: 글자크기 10포인트, 줄간격 160%(한컴 오피스 한글프로그램 기준)으로 A4, 본문과 같은 편집용지 기준으로 1페이지 이상 3페이지 이하의 분량으로 작성한다.
5. 위치: 논문의 맨 뒤에, 참고 문헌의 뒤에 놓는다.
6. 필자의 영문 성명은 제목 아래에 직책, 전공, 소속을 함께 표기한다.
예) [Abstract]
The Semiology of Roland Barthes and Its Missiological Implications
Cho, Hyun-Sik (DeaHan Theological University. Miss-iology)
7. 제목 15pt, 연구자명 11pt, 본문 10pt, 장평 100%, 자간 0%, 줄간격 160%로 하고 정렬과 여백은 본문(제7조)과 같이 한다.
제22조(기타 사항)
1. 외국어 논문 인용시 In(in) 표기법은 다음과 같다.
1) 각주: “논문명,” in 책이름 (이때 논문명 뒤에 콤마(,)를 찍는다)
2) 참고문헌: “논문명.” In 책이름 (이때 논문명 뒤에 점(.)을 찍는다). 논문이 저널에 게재되었을 때는 in 을 사용하지 않고, 책에 인용되었을 때만 사용한다.
2. Reprint의 표기는 다음과 같이 한다.
1) 각주: 세미콜론(;) 후에 reprint 연도 기록.
예) (Grand Rapids: Eerdmans, 1950; reprint, 2001), 24.
2) 참고문헌: 마침표(.)을 찍은 후에 Reprint 연도 기록.
예) Grand Rapids: Eerdmans, 1950. Reprint, 2001.
3. 각주와 참고문헌목록 작성에 있어, 논문명을 기록할 때 콤마(,)와 마침표(.)는 한글문헌의 경우 논문제목 표시의 따옴표(“ ”) 바깥에, 외국문헌의 경우 안쪽에 표기하도록 한다.
각주 양식
1 Joseph A. Fitzmyer, The Gospel according to Luke, vol.1 (Garden City: Doubleday, 1983), 220-23.
2 Karl Barth, Church Dogmatics, Ⅲ/4, trans. A. T. Mackay, et al. (Edinburgh: T. & T. Clark, 1961).
3 Barth, Chruch Dogmatics, Ⅲ/4, 89.
4 강경선, “성체줄기세포연구와 생명 윤리 문제의 극복 방안,” 「생명은 수정 순간부터」, 2001년 성산 생명 연구소 설립 기념 심포지움 (2001년 12월): 5-9.
5 강경선, “성체줄기세포연구와 생명 윤리 문제의 극복 방안,” 7.
6 O. J. Brown, Death Before Birth (Nashville: Thomas Nelson, 1977), 118-19.
7 Brown, Death Before Birth, 125.
8 James A. Byrne & John B. Gurdon, “Commentary on Human Cloning,” http://www.reproductivecloning.net/cgi-bin/ikonb oard/.
9 Ronald Cole-Turner, “At the Beginning,” in Human Cloning: Religious Issues, ed. Ronald Cole-Turner (Louisville: Westmin ster/John Knox Press, 1997), 122-26.
10 Cole-Turner, “At the Beginning,” 87.
11 구영모, “윤리적 관점에서,” 서강대학교 개교 40주년 기념 심포지엄: 인간복제와 생명의 존엄성 「문화일보」, 2000년11월16일, http://biozine.kribb.re.kr/study/kis 2000-11-19.html. 2000년 11월 20일 검색.
12 김상득,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생명 복제,” 「신앙과 학문」 4/3 (1999 가을): 21-41.
13 김상득,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생명 복제,” 29.
14 R. G. Edwards, “Fertilization of Human Eggs in Vitro: Morals, Ethics and the Law,” Quarterly Review of Biology 49(March, 1974): 1-19.
15 John S. Feinberg & Paul D. Feinberg, Ethics for a Brave New World (Wheaton: Crossway Books, 1993).
16 John M. Frame, “Abortion from a Biblical Perspective,” in Thou Shalt Not Kill, ed. Richard Ganz (New Rochelle: Arlington House Publishers, 1978), 25-29.
17 Frame, “Abortion from a Biblical Perspective,” 27.
18 John M. Frame, Medical Ethics: Principles, Persons, and Pro blems (Phillipsburg: Presbyterian and Reformed, 1988), 47.
19 Frame, Medical Ethics, 117-119.
20 Walter C. Kaiser, Toward An Old Testament Theology, 최종진 역, 『구약성경신학』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2), 89.
21 Meredith G. Kline, “Lex Talionis and the Human Fetus,”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20/3 (1977): 193-201.
22 Richard A. McCormick, “In Vitro Fertilization,” Contemporary OB/GYN 20 (November 1982): 227-32, reprinted in On Moral Medicine, eds. Stephen E. Lammers & Allen Verhey (Lexington: Lexington Books, 1982), 333-347.
23 Warren T. Reich, “In Vitro Fertilization & Embryo Transfer: Public Policy and Ethics,” in Science & Morality: New Direc tions in Bioethics, eds. Doris Teichler-Zellen & Colleen D. Clements (Lexington: Lexington Books, 1982), 121-139.
참고문헌 양식
Barth, Karl. Church Dogmatics. III/4. Trans. A. T. Mackay, et al. Edinburgh: T. & T. Clark, 1961.
Byrne, James A. & John B. Gurdon. “Commentary on Human Cloning.” http://www.reproductivecloning.net.
Cole-Turner, Ronald. “At the Beginning.” In Human Cloning: Religious Issues. Ed. Ronald Cole-Turner. Louisville: West minster/John Knox Press, 1997, 122-26.
Cottrell, Jack W. “Abortion and the Mosaic Law.” Christianity Today (March 16, 1973): 1-19.
Fitzmyer, Joseph A. The Gospel according to Luke. Vol. 1. Garden City: Doubleday, 1983.
Frame, John M. “Abortion from a Biblical Perspective.” In Thou Shalt Not Kill. Ed. Richard Ganz. New Rochelle: Arlington House Publishers, 1978: 52-57.
. Medical Ethics: Principles, Persons, and Problems. Phill ipsburg: Presbyterian and Reformed, 1988.
Kaiser, Walter C. Toward An Old Testament Theology. 최종진 역. 『구약성경신학』.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2.
Kline, Meredith G. “Lex Talionis and the Human Fetus.”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20/3 (1977): 193-201.
부 칙
1. 이 규정은 학회 임원회의 승인을 받으면서 효력이 발생한다.
2. 이 규정에 명시되지 않는 사항은 관례에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