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미래학회

아프리카 소식
케냐 홍수 사망자 200명 넘어…사이클론도 접근(종합)
관리자 2024.05.04 86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케냐 홍수 사망자 200명 넘어…사이클론도 접근(종합)

송고시간2024-05-03 22:59

대통령 "학교 개학 무기한 연기"

홍수에 잠긴 케냐 나이로비 빈민가
홍수에 잠긴 케냐 나이로비 빈민가

[신화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유현민 특파원 = 케냐에서 우기가 시작된 3월 중순부터 계속된 폭우와 홍수로 사망자가 200명을 넘어섰다고 AFP 통신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케냐 내무부는 이날 성명에서 "지난 24시간 동안 22명이 추가로 숨져 3월 중순 이후 집계된 사망자가 약 210명에 달한다"며 "16만5천명 이상이 집을 잃었고 90명이 실종돼 사망자는 더 늘어날 수도 있다"고 발표했다.

수해에서 채 벗어나지 못한 상황에서 열대성 폭풍 사이클론 '히다야'도 접근하고 있다.

케냐 기상청은 강한 바람과 폭우를 동반한 사이클론이 5일부터 동부 해안을 강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큰 파도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은 이날 대국민 연설에서 앞서 오는 6일로 1주일 미뤄졌던 각급 학교 개학을 추후 공지가 있을 때까지 무기한 연기한다고 밝혔다.

인접국 탄자니아 기상청도 "히다야는 오늘 새벽 3시께 동남부 도시 음트와라에서 400㎞ 떨어진 해상에서 본격적인 사이클론 상태에 도달할 정도로 강해졌다"며 "풍속이 시속 약 130㎞에 달하고 갈수록 더 강해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최근 몇 년간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던 아프리카 동부는 엘니뇨 현상의 영향으로 작년 10월부터 시작된 폭우와 홍수로 수해가 속출하고 있다.

유엔에 따르면 탄자니아 북쪽 접경 내륙국 부룬디에서는 작년 9월 이후 폭우로 최소 29명이 숨지고 175명이 부상했으며 수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탄자니아에서도 올해 들어 155명이 수해로 사망했다.

아프리카 대륙 동쪽 인도양 서남부에서는 매년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평균 12개의 열대성 폭풍이 발생한다.

1년 전에는 사이클론 프레디가 마다가스카르와 대륙 본토의 말라위와 모잠비크를 덮치며 아프리카 동남부에서 600명 넘게 목숨을 잃었다.

hyunmin623@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4/05/03 22:59 송고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마사이마라 수해…관광객 대피

송고시간2024-05-02 00:27

폭우로 불어난 물에 잠긴 케냐 마사이마라 국립공원 산장(롯지)의 모습
폭우로 불어난 물에 잠긴 케냐 마사이마라 국립공원 산장(롯지)의 모습

[AP=연합뉴스]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유현민 특파원 = 케냐의 유명 관광지 마사이마라 국립공원의 일부 숙박시설이 폭우에 물에 잠겨 관광객이 대피했다고 AP·AFP 통신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날 이른 아침 케냐 서남부에 있는 이 국립공원의 강 제방이 폭우로 불어난 물에 무너지면서 12곳 이상의 호텔과 산장, 캠핑장이 침수됐다.

현지 행정 당국 관계자는 "약 100명의 관광객이 발이 묶여 구조에 나섰다"며 헬기 두 대를 투입해 대피시켰다고 밝혔다.

마사이마라 국립공원은 사자, 코끼리, 코뿔소, 물소, 표범 등 이른바 '빅(big) 5'와 기린, 하마, 치타 등이 서식하는 곳으로 사파리 관광객이 많이 찾는 곳이다.

케냐에서는 우기가 시작된 3월 중순 이후 극심한 폭우로 곳곳에서 홍수가 나면서 전날까지 어른 164명, 어린이 15명 등 179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내무부에 따르면 이번 폭우와 홍수로 케냐 전국적으로 3만1천341가구가 피해를 봤고 19만5천11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90명이 실종됐다.

최근 몇 년간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던 아프리카 동부는 엘니뇨 현상의 영향으로 작년 10월부터 폭우와 홍수가 이어지면서 수해가 속출하고 있다.

케냐의 남쪽 접경국 탄자니아에서도 폭우와 홍수로 올해 들어 최소 155명이 숨졌고 부룬디에서는 수개월 동안 이어진 폭우로 약 9만6천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앞서 작년 10∼12월에는 케냐,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등에서 기록적인 폭우로 300명 이상 숨졌다.

hyunmin623@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4/05/02 00:27 송고

본 기사는 연합뉴스와의 계약없이 전문 또는 일부의 전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Yonhapnews. All rights reserved.

본 기사는 연합뉴스와의 계약없이 전문 또는 일부의 전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Yonhapnews.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