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미래학회

아프리카 소식
“100조 달러, 휴지조각 됐다”…짐바브웨, 새 화폐 'ZiG' 출시
관리자 2024.04.06 255

“100조 달러, 휴지조각 됐다”…짐바브웨, 새 화폐 'ZiG' 출시

2024-04-06 19:00
100조 짐바브웨 달라. [헤럴드DB]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치솟는 인플레이션으로 통화가치 급락 현상이 발생한 짐바브웨에서, 기존 짐바브웨 달러(Z$)를 대체할 새 화폐가 출시된다.
6일 현지 일간지 더 헤럴드에 따르면 짐바브웨 중앙은행의 존 무샤야바누 총재는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새 화폐 '짐바브웨 골드'(ZiG)화를 공개하고 "오는 8일부터 다른 법정 통화와 함께 유통될 것"이라고 말했다.
짐바브웨 달러는 ZiG로 대체된다. 미국 달러와 남아프리카공화국 랜드 등 다른 법정 통화는 그대로 유지될 예정이다. 중앙은행이 보유한 외화와 금, 귀금속으로 뒷받침되는 새 화폐의 환율은 달러당 13.56ZiG이 된다. 동시에 새 통화 정책을 반영해 이자율을 130%에서 20%로 내린다.
뮤샤야바누 총재는 "다중 통화 시스템은 최소 2030년까지는 유지될 것"이라며 "기존 짐바브웨 달러 화폐는 3주 안에 ZiG 화폐로 교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짐바브웨는 2009년 당시 천문학적인 인플레이션을 경험하면서, 자국 화폐가 사실상 휴지 조각이 되자 미국 달러 등 외국 화폐를 법정 통화로 채택한 바 있다. 짐바브웨달러는 한때 100조 짐바브웨 달러 단위까지 올랐지만, 짐바브웨 정부는 끝내 자국화폐를 폐기하게 됐다.
앞서 정부는 2019년 다시 짐바브웨 달러를 도입하고 이를 살리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으나 화폐 가치 하락을 면치 못했다. 짐바브웨 달러는 올해 들어 공식 시장에서 80% 가까이 가치가 하락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실적이 나쁜 통화다.
통화 가치 급락으로 인플레이션은 지난해 12월 26.5%에서 올해 1월 34.8%, 2월 47.6%, 3월 55.3%로 급등했다. 뮤샤야바누 총재는 "이미 거래의 85% 가까이 미국 달러로 이뤄지는 상황이지만, 우리는 현지 통화가 사라지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print close
Copyright Herald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국가기간뉴스 통신사 연합뉴스

짐바브웨 '가치 폭락' 현지화 대체 새 화폐 'ZiG' 출시

송고시간2024-04-06 18:34

8일부터 미국 달러 등 다른 법정 통화와 함께 유통

짐바브웨 새 화폐 'ZiG'
짐바브웨 새 화폐 'ZiG'

[AFP=연합뉴스]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유현민 특파원 = 짐바브웨가 치솟는 인플레이션에 대처하기 위해 가치가 폭락한 짐바브웨 달러(Z$)를 대체할 새 화폐를 출시했다고 현지 일간지 더헤럴드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짐바브웨 중앙은행의 존 무샤야바누 총재는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새 화폐 '짐바브웨 골드'(ZiG)화를 공개하고 "오는 8일부터 다른 법정 통화와 함께 유통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통화 가치가 급락한 짐바브웨 달러는 ZiG로 대체되며 미국 달러와 남아프리카공화국 랜드 등 다른 법정 통화는 그대로 유지된다.

중앙은행이 보유한 외화와 금, 귀금속으로 뒷받침되는 새 화폐의 환율은 달러당 13.56ZiG로 정해졌다.

아울러 새 통화 정책을 반영해 이자율을 130%에서 20%로 내렸다.

뮤샤야바누 총재는 "다중 통화 시스템은 최소 2030년까지는 유지될 것"이라며 "기존 짐바브웨 달러 화폐는 3주 안에 ZiG 화폐로 교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짐바브웨는 2009년 당시 천문학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자국 화폐가 사실상 휴지 조각이 되자 미국 달러 등 외국 화폐를 법정 통화로 채택했다.

당시 짐바브웨는 한때 100조 짐바브웨 달러 지폐까지 발행했다가 결국 자국 화폐를 폐기해야 했다.

이후 10년 만인 2019년 다시 짐바브웨 달러를 도입하고 이를 살리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으나 화폐 가치 하락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짐바브웨 달러는 올해 들어 공식 시장에서 80% 가까이 가치가 하락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실적이 나쁜 통화가 됐다.

통화 가치 급락으로 인플레이션은 지난해 12월 26.5%에서 올해 1월 34.8%, 2월 47.6%, 3월 55.3%로 급등했다.

뮤샤야바누 총재는 "이미 거래의 85% 가까이 미국 달러로 이뤄지는 상황이지만, 우리는 현지 통화가 사라지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hyunmin623@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4/04/06 18:34 송고

본 기사는 연합뉴스와의 계약없이 전문 또는 일부의 전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Yonhapnews.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