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미래학회

아프리카 자료
NO 13. 아프리카 내 무장 드론 확산과 민간 피해 사례-아프리카위클리 2025년4월4일
관리자 2025.04.05 15
No.13 (2025.4.4.)
한·아프리카재단 조사연구부가 매주 전하는 최신 아프리카 동향과 이슈

아프리카 내 무장 드론 확산과 민간 피해 사례

지난 1월, 수단의 한 병원에 드론 폭격이 가해져 환자와 방문객 등 약 70여명이 숨지고 19명이 다치는 사건이 발생했다. 수단은 2023년 4월 15일 수단정부군(Sudanese Armed Forces: SAH)과 신속지원군(Rapid Support Forces: RSF)의 무력 충돌 발발 이후 현재까지도 유혈 사태가 이어지고 있으며, 해당 공격은 RSF의 소행이라는 추정이 나오고 있다.

러-우 전쟁 이후 저비용 고효율의 전쟁 수단으로 ‘드론’의 성과가 입증되면서 아프리카 국가들은 드론 전쟁에 대비하기 시작했다. 조종사의 인명 피해 없이 전쟁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는 한편, 수행이 간편해진 탓에 살인 행위가 더 쉬워질 수 있고, 지상에서 이 수행 과정을 지켜보는 군인들이 없기에 더 많은 민간인이 희생될 위험이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무엇보다, 반군이나 테러단체에서도 무장 드론을 도입하기 시작하여 아프리카 역내 평화에 위협을 주고 있다. 실제로 2020년 1월, 소말리아에 기반을 둔 알카에다 연계단체 알샤바브(al-Shabaab)의 드론 공격으로 미군 병사 1명과 직원 2명이 사망하였고, 말리와 부르키나파소에 기반을 둔 알카에다 연계단체 JNIM(Jama’at Nusrat al-Islam wal-Muslimin)이 지난 2월 부르키나파소의 군 시설에 드론을 이용한 폭발물 투하를 감행한 적이 있다. 수단 RSF도 지난 2월 아랍에미리트에서 중국제 CH-95 드론을 들여오던 중 SAF에 의해 발각되어 드론이 요격되기도 했다.

드론을 비롯한 원격 전쟁의 문제에 대해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는 영국 비정부기구 ‘드론 워즈 UK(Drone Wars UK)’는 지난 3월 10일 아프리카에서의 무장 드론 확산과 민간 피해 현황을 분석한 보고서 ‘죽음의 배달(Death on Delivery)’을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11월부터 2024년 11월까지 50건의 드론 공격으로 인해 아프리카에서 최소 943명 이상의 민간인이 희생되었다. 현재까지도 더 많은 국가와 반군, 테러단체 등에서 드론을 전장에 투입하고 있으며 드론의 종류, 등급, 크기도 점점 더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다.
아프리카 무장 드론 도입 현황
현재 아프리카는 총 17개 국가에서 무장 탑재가 가능한 중고도 장기체공(Medium Altitude, Long Endurance) 드론*을 운용 중에 있다. 아프리카 내 방위산업 관련 정보 제공 매체인 밀리터리 아프리카(Military Africa)의 조사에 따르면 감시 및 정찰 활동을 수행하는 드론을 보유한 국가들까지 계수할 때, 총 31개 국가에서 군사적 목적의 드론을 운용 중이다.

*3,000~9,000m의 고도에서 장시간(일반적으로 24~48시간) 비행하는 무인 항공기를 말한다. 적절한 성능과 가격으로 인해 전쟁에서 공격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민간인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시기적으로는 2022년 이후 무장 드론 도입이 급증했는데, 러-우 전쟁에서 무장 드론의 성과가 드러나면서 아프리카에도 무장 드론이 활발히 보급된 것으로 보인다.

무장 드론은 튀르키예, 중국, 이란을 통해 아프리카로 수입된 것으로 파악되며 특별히 최근 튀르키예가 대아프리카 드론 수출에 주도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대아프리카 무장 드론의 주요 수출국
튀르키예는 2004년 자체 드론 개발을 시작하여 비교적 짧은 기간에 무장 드론의 주요 수출국으로 부상했다. 2010년대 말부터는 대아프리카 드론 수출을 주도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아프리카에서 영향력 확대를 시도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대표적인 드론으로 베이카르(Baykar)사의 바이락타르 TB2(Bayraktar TB2)와 동일 기업의 아킨치(Akinci)가 있으며, 바이락타르 TB2는 2019년 리비아의 국가통합정부(Government of National Accord, GNA)*에서 반군을 상대로 실제 공격을 감행한 적이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국가 중 르완다, 케냐, 차드 등 총 9개 국가에서 튀르키예제 드론을 수입했다.

*GNA는 리비아의 카다피(Muammar al Qaddafi) 정권 붕괴 후 2021년 3월 과도정부인 리비아 임시통합행정부(Government of National Unity: GNU)가 출범되기 전까지 존재했던 임시정부였다. 유엔의 지지를 얻고 있었으며 2020년 11월 리비아 동부지역을 통제하던 리비아국민군(Libyan National Army: LNA)과 정전에 합의하여 과도정부 GNU를 출범시켰으나, 정파 갈등이 끝나지 않아 합의는 사실상 무산되었다. 현재는 GNU가 GNA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한편 중국은 군사 산업이 발달한 주요 글로벌 군사 강국임에도 무장 드론에 있어서는 개발이 늦어 미국이 2001년 드론을 처음 실전 배치한 지 몇 년이 지난 뒤에야 중국도 무장 드론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중국제 무장 드론으로는 중국항천과기그룹(China Aerospace Science and Technology Corporation: CASC)의 차이홍(彩虹) 시리즈와 중국항공공업그룹(AVIC)의 윙룽(翼龍) 시리즈가 있다.

2015년 1월 나이지리아에서 중국제 차이홍(CH)-3 드론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중국이 무장 드론을 해외에 수출하기 시작했다는 정황이 처음으로 드러났다. 이후 아프리카에서는 이집트, 알제리, 모로코, 에티오피아, 민주콩고(DRC) 등 총 6개 국가에서 중국제 드론을 수입하여 운용 중이다.

이란의 경우, 1980년대 이란-이라크 전쟁 중 드론을 개발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다양한 무장 드론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적인 드론 모델로는 샤헤드(Shahed)-129, 모하저(Mohajer)-6, 모하저-109 등이 있으며 다양한 자폭형 드론 또는 단방향 공격용 드론*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한 번의 비행으로 목표를 공격하고, 이후 더 이상 회수되지 않는 드론을 의미한다. 목표에 도달한 후 폭발하거나 다른 형태로 공격을 실행한다.

이란제 드론은 중동의 여러 무장 단체에서 사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수단 SAF에 무장 드론을 공급하고 있는데, 이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수단 사태를 더욱 격화시키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수단으로의 군사 장비 수출은 유엔 무기 금수 조치(UN arms embargo)*를 위반하는 것이었기에 적지 않은 논란을 불러 일으키기도 했다.

*2004년 유엔이 시행한 무기 거래 금지 조치로, 2003년 수단 다르푸르(Darfur) 지역에서 발생한 내전 직후에 결의되었다. ‘다르푸르 사태’라 불리는 이 내전은 수단 북부 지역 아랍계 유목민과 남부 지역 아프리카계 농경민 간 충돌로 인해 발생하였으며 당시 끔찍한 인종 청소가 자행되어 최대 45만 명의 사상자와 250만 명의 난민이 발생된 것으로 추산된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국가 중 수단 외에 이란제 무장 드론을 수입했다는 정황은 없다. 드론 워즈 UK에 따르면 이란을 포함한 여타 국가들의 선전물, 가짜뉴스로 인해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아프리카 내 무장 드론으로 인한 민간 피해 사례
2022년 10월, 에티오피아에 위치한 오푸 베케(Ofu Bekke) 마을에서 열린 주민회의 중 드론 공격이 발생하여 최소 86명의 민간인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무장단체인 오로모 해방군(Oromo Liberation Army: OLA)이 해당 지역을 장악하려 시도한 데 대한 정부군의 표적 공격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드론을 이용한 소탕 작전에서 무장단체 조직원과 민간인을 구분하기란 쉽지 않다.

2023년 8월에는 부르키나파소 부로(Bouro) 마을에서 정부군의 드론 공습이 발생하여 최소 28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 이 지역은 이슬람 원리주의 무장단체인 JNIM이 통제하고 있는 지역으로 정부군의 주요 표적이 되어 왔다. 부르키나파소 정부는 이 공격을 JNIM 소탕을 위한 성공적인 군사 작전으로 보도했으나, 드론 워즈 UK는 민간인들이 가득한 시장이 공격받았다고 주장하였으며 인권 보호 비영리기구인 휴먼라이츠워치(Human Rights Watch) 또한 공격 당시엔 아직 JNIM의 차량이 마을에 도착하지도 않은 상태였다고 전했다.

2023년 12월에는 나이지리아에서 군용 드론이 민간인을 오인 공습해 100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했다. 나이지리아 군은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인 보코하람(Boko Haram)의 테러를 무력화하고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작전을 진행해오고 있는데, 당시 군측은 테러범들과 유사한 이들의 움직임을 포착하여,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 드론 공습을 수행했다고 해명했다. 사건 이후 볼라 티누부(Bola Tinubu) 나이지리아 대통령은 오인 공습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를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수많은 드론 공격 사례들이 보고 되었는데, 대다수 사례에서 보이는 공통된 특징은 드론 공격 시 민간인을 식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왕왕 발생하며 이로 인한 민간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향후 과제
현재 무장 드론의 거래에 관한 국제적인 협정은 미사일 기술 통제 체제(Missile Technology Control Regime: MTCR), 무기 거래 조약(Arms Trade Treaty), 그리고 와세나르 협정(Wassenaar Arrangement) 세 가지다. 이들 협정은 일정 수준 이상의 살상 능력을 가진 드론 거래를 제한하는 규정과 반인도적 범죄에 연루된 국가 또는 단체에 대한 무장 드론 수출 금지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이 협정에 가입한 국가들이 많지 않을 뿐더러, 가입했다고 하더라도 의무를 준수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효과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일례로 MTCR에는 단 35개 국가만 서명한 상태이며 주요 드론 수출국 중 하나인 중국은 서명하지 않았다.

때문에 드론 워즈 UK는 무장 드론으로 인한 민간인 피해를 줄이기 위해 국제사회의 협력이 더욱 필요하다고 피력한다. 민간인 피해 사례에 대해 철저히 관리·감독을 시행하여 투명하게 공개해야 하며, 무장 충돌 발생 시 민간인 보호에 대한 약속을 재확인하고, 이를 어길 시 강력히 규탄함으로써 국제법에 따른 조치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드론은 아프리카에서 치러지는 전쟁 양상에 새로운 변화를 주고 있다. 그러나 피아식별 문제, 평화협정의 재정비, 협정 내용 준수 및 관리·감독 등 무장 드론의 개발과 사용에 있어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어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

"5000달러 드론이 500만달러 탱크 파괴"… 전쟁 바꾼 빅테크 (조선일보, 2024-11-06)

나이지리아 군용 드론 민간인 오인 공습…최소 85명 사망 (VOA, 2023-12-06)

아프리카 수단 병원에 드론 공격...70명 사망 (YTN, 2025-01-26)

'죽음의 배달' 드론 전쟁의 그늘…"아프리카 곳곳서 민간인 폭격" (연합뉴스, 2025-03-11)

튀르키예, 아프리카서 '新실크로드' 구축 가속화 (글로벌이코노믹, 2024-11-12)

Africa’s insurgents and terrorists are adopting drones (Military Africa, 2025-02-22)

Convenient Killing: Armed Drones and the ‘Playstation’ Mentality (Drone Wars UK, 2010-09-20)

Death on Delivery: New Report examines civilian harm from intensifying drone warfare across Africa (Drone Wars UK, 2025-03-10)

Jihadists in Nigeria launches drone assault (Military Africa, 2024-12-24)

‘Made in Africa’ Drones Take Off (Africa Defense Forum, 2025-01-24)

Zephyr Achieves 13-Day Stratospheric Flight, Begins Operations from Kenya (UASweekly.com, 2025-02-04)

06750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58, 외교타운 4층 한·아프리카재단
 · TEL : 02-722-4700 · FAX : 02-722-4900
 kaf@k-af.or.kr
수신거부 Unsubscribe
×